2026년 기준 중위소득 개념 구간별 금액 주요 혜택 모의계산

정부 지원사업 알아보시다가 중위소득 몇 퍼센트라는 말 보셨죠? 기준 중위소득은 80개 이상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입니다. 2026년 중위소득은 4인 가구 649만원으로 역대 최고 6.51% 인상되어, 생계급여부터 국가장학금까지 더 많은 분들이 혜택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 확인하시면 중위소득 뜻부터 50%, 100%, 120%, 150%, 180% 구간별 받을 수 있는 혜택까지 모두 알 수 있습니다.


💡핵심정보 한눈에 보기

중위소득 뜻: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가운데 위치한 가구의 소득

2026년 기준: 1인 256만원, 4인 649만원 (역대 최대 인상률)

활용 범위: 14개 부처 80개 복지사업 선정기준으로 활용

50% 이하: 기초생활보장 4대 급여, 국가장학금 전액

100% 이하: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저축계좌, 차상위계층 혜택

150% 이하: 국가장학금, 청년월세지원, 에너지바우처


우리집 중위소득 모의계산해보기👆


기준 중위소득 뜻과 계산방법

기준 중위소득은 전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일렬로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평균 소득과 달리 소득 분포의 중심을 나타내는 지표로, 정부 복지정책의 가장 중요한 기준선입니다.


   중위소득 개념

전국 가구를 100가구로 가정했을 때 50번째 가구의 소득

상위 50%, 하위 50%를 나누는 기준점

평균 소득보다 정확한 소득 분포 파악 가능

매년 8월 1일 보건복지부가 고시


   계산 방법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가구 경상소득 중간값 활용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반영

가구규모별 소득수준 차이 반영

공식: 기준 중위소득 = 전년도 중위소득 × (1+기본증가율) × (1+추가증가율)


   활용 범위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

국가장학금 (한국장학재단)

청년복지사업 (청년도약계좌, 청년월세지원)

에너지바우처, 아이돌봄서비스 등 80개 이상 사업



2026년 기준 중위소득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49만 4,738원으로 전년 대비 6.51%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역대 최대 인상률이며, 특히 1인 가구는 7.20%로 더 높게 인상되었습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56만 4,238원 (2025년 239만 2,013원 대비 7.20% 인상)

2인 가구: 419만 9,292원 (2025년 393만 2,658원 대비 6.78% 인상)

3인 가구: 535만 9,036원 (2025년 502만 5,353원 대비 6.59% 인상)

4인 가구: 649만 4,738원 (2025년 609만 7,773원 대비 6.51% 인상)

5인 가구: 755만 6,719원 (2025년 710만 8,192원 대비 6.31% 인상)

6인 가구: 856만 4,576원 (2025년 806만 5,897원 대비 6.18% 인상)


역대 중위소득 인상률 추이

2022년: 5.02%

2023년: 5.47%

2024년: 6.09%

2025년: 6.42%

2026년: 6.51% (역대 최고)


중위소득 주요 구간 및 금액 

정부 지원사업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을 기준으로 수급자를 선정합니다. 중위소득 50%, 100%, 120%, 150%, 180% 등 주요 구간별 금액을 확인하세요.


우리집 중위소득 모의계산해보기👆


   중위소득 50% (1인 가구: 128만원, 4인 가구: 325만원)

1인 가구: 128만 2,119원

2인 가구: 209만 9,646원

3인 가구: 267만 9,518원

4인 가구: 324만 7,369원

교육급여, 국가장학금 전액지원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56만원, 4인 가구: 649만원)

1인 가구: 256만 4,238원

2인 가구: 419만 9,292원

3인 가구: 535만 9,036원

4인 가구: 649만 4,738원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내일저축계좌 기준


   중위소득 120% (1인 가구: 308만원, 4인 가구: 779만원)

1인 가구: 307만 7,086원

2인 가구: 503만 9,150원

3인 가구: 643만 843원

4인 가구: 779만 3,686원

희귀질환 의료비지원, 예술활동준비금 기준


   중위소득 150% (1인 가구: 384만원, 4인 가구: 974만원)

1인 가구: 384만 6,357원

2인 가구: 629만 8,938원

3인 가구: 803만 8,554원

4인 가구: 974만 2,107원

국가장학금 일부지원, 청년월세지원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가구: 461만원, 4인 가구: 1,169만원)

1인 가구: 461만 5,628원

2인 가구: 755만 8,726원

3인 가구: 964만 6,265원

4인 가구: 1,169만 527원

청년도약계좌, 다자녀 지원사업 기준


중위소득 구간별 주요 혜택

중위소득 구간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사업이 달라집니다. 내 소득이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인지 확인하고,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기초생활 복지급여 신청 바로가기👆


중위소득 32% 이하 (생계급여)

1인 가구 82만원, 4인 가구 208만원 생계급여 지급

생계비 현금 지원 (선정기준액 - 소득인정액)

건강보험료 면제

통신비·전기요금·인터넷 감면


중위소득 40% 이하 (의료급여)

1인 가구 103만원, 4인 가구 260만원 이하

병원 진료비 본인부담 최소화 (외래 1,000~2,000원)

입원비 전액 또는 90% 지원

건강검진 무료


중위소득 48% 이하 (주거급여)

1인 가구 123만원, 4인 가구 312만원 이하

임차가구: 월세 지원 (1급지 1인 34.7만원)

자가가구: 주택 수선비 지원 (최대 1,241만원)


중위소득 50% 이하

교육급여: 초등 50만원, 중등 70만원, 고등 86만원 연간 지원

국가장학금: 전액 지원 (1학기 최대 350만원)

청년월세 특별지원: 월 20만원 × 12개월 (청년독립가구 중위 60% 이하)

에너지바우처: 연 36만원 (동절기 난방비 지원)


중위소득 50~100% (차상위계층)

차상위계층 혜택: 통신비 감면, 전기요금 할인

청년내일저축계좌: 3년 후 최대 1,440만원 (중위 50~100%)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월 68만원 × 6개월 구직수당

자활근로: 자활 프로그램 참여 시 급여 지급


중위소득 120% 이하

희귀질환 의료비: 본인부담금 지원

예술활동준비금: 예술인 창작준비금 지원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 단열공사, LED 교체 지원


중위소득 150% 이하

국가장학금 일부: 학기당 168~350만원 (구간별 차등)

청년월세지원 (일반): 월 최대 20만원 (중위 60% 초과~150%)

임신출산 의료비: 국민행복카드 100만원 바우처

아이돌봄서비스: 시간당 최대 11,630원 지원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약계좌: 5년 후 최대 5,000만원 (중위 180% 이하 청년)

다자녀 지원: 전기요금·도시가스 할인 (3자녀 이상)

출산지원금: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2024년생부터)


중위소득 200~300% 이하

국가장학금 소득연계: 학기당 최소 67.5만원

근로장려금: 가구당 최대 330만원 (중위 200% 이하)

자녀장려금: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



내 소득 중위소득 확인 방법

내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려면 소득인정액을 계산해야 합니다. 간단하게는 건강보험료로 역산하거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계산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모의계산 서비스 바로가기👆


   방법 1: 복지로 모의계산 (가장 정확)

복지로 사이트 접속 (www.bokjiro.go.kr)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메뉴 선택

가구원 수, 소득, 재산 입력

중위소득 비율 및 수급 가능 혜택 확인


   방법 2: 건강보험료로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이트에서 월 보험료 확인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와 비교

해당 구간의 중위소득 비율 확인

예: 4인 가구 보험료 20만원 → 중위소득 약 100%


   소득인정액 계산 공식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계산이 복잡하므로 복지로 모의계산 권장


기준 중위소득은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 내가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2026년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로 인상되어 더 많은 국민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위소득 50% 이하면 기초생활보장 급여, 100% 이하면 국민취업지원과 청년저축계좌, 150% 이하면 국가장학금과 청년월세지원, 180% 이하면 청년도약계좌 대상입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계산으로 내 소득 구간 먼저 확인하시고, 놓치고 있던 정부 지원 혜택 꼭 신청하세요!

다음 이전